의학 일지

간 건강,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– 기능, 해독, 예방까지

티맘 2025. 7. 4. 01:14
728x90
반응형

 

🧠 우리 몸의 '화학 공장', 간 완전 해부

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내장 기관이자,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‘대사와 해독의 중심지’입니다. 우리가 먹은 음식, 복용한 약, 흡입한 공기 속의 독소까지 모두 간을 통과합니다. 이 글에서는 간의 구조와 기능, 주요 역할, 건강관리까지 아주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.


🧩 간의 기본 정보

항목 상세 설명
위치 복부 우상복부(오른쪽 윗배), 횡격막 아래 위치. 대부분은 갈비뼈 아래에 숨겨져 있음
무게 성인 기준 약 1.2-1.5kg. 심장 무게의 약 4-5배로, 인체 내에서 가장 무거운 장기
적갈색. 혈류량이 풍부하고, 산화·환원 반응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
특징 약 80%가 간세포(hepatocytes)로 구성되어 있음. 혈액의 약 25%가 간을 통해 순환하며, 하루 1,500L 이상 처리
재생 능력 간세포는 손상되더라도 분열하여 복구할 수 있음. 간의 2/3 이상 절제해도 원래 크기로 회복 가능 (단, 만성 손상은 제외)

🧬 간의 구조

  • 간은 외형적으로 4개의 엽(lobe)으로 나뉘지만, 기능적으로는 수많은 간소엽(lobule)으로 구성됨
  • 간소엽(Hepatic lobule) 구조:
    • 중심정맥(central vein)을 중심으로 육각형 배열
    • 주변에는 문맥혈관, 간동맥, 담즙관이 3각형 모양으로 배열 (portal triad)
  • 혈액 흐름:
    → 문맥/간동맥 → sinusoid(모세혈관) → 중심정맥
  • 담즙 흐름:
    ← 담관 ← 담세관 ← 간세포
  • 쿠퍼세포(Kupffer cells):
    • 간내 고정 대식세포
    • 혈액 내 세균, 이물질, 노폐물을 포식하여 면역 기능 수행


⚙️ 간의 주요 기능 6가지

1️⃣ 탄수화물 대사 – 혈당 조절의 본부

  • 글리코겐 저장: 포도당을 다량 섭취 시,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 (인슐린 의존적)
  • 글리코겐 분해 (glycogenolysis): 혈당이 낮을 때 글리코겐을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
  • 신생당 생성 (gluconeogenesis): 젖산, 아미노산, 글리세롤 등을 포도당으로 재합성
  • 예시:
    공복 상태에서도 뇌가 포도당을 공급받는 이유는 간의 신생당 생성 덕분입니다.

2️⃣ 단백질 대사 – 독성 물질을 무독화

  • 아미노산 탈아민화암모니아(NH₃) 생성
  • 암모니아는 뇌에 독성이 강하므로 **요소(urea)**로 전환 → 신장을 통해 배출
  • 단백질 합성:
    • 알부민: 혈장 삼투압 유지
    • 혈액응고인자: 프로트롬빈, 피브리노겐 등
  • 예시:
    간이 손상되면 알부민이 감소해 부종, 출혈 경향이 나타납니다.

3️⃣ 지방 대사 – 에너지 창고 및 콜레스테롤 공장

  • 지방산 산화(β-oxidation) → 아세틸-CoA 생산
  • 케톤체 생성: 기아 상태, 당뇨 시 지방산 분해로 생성 → 뇌의 대체 에너지원
  •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합성: 세포막, 담즙산,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원료
  • 중성지방(TG) 합성 → VLDL로 혈액 내 운반
  • 예시:
    간 기능 저하 시, 고지혈증 및 지방간 발생

4️⃣ 해독 작용 – 생체 방어의 최전선

  • 1차 대사 (Phase I):
    • 사이토크롬 P450 계열 효소에 의해 산화, 환원, 가수분해
    • 약물의 독성을 줄이거나 활성화함
  • 2차 대사 (Phase II):
    • 포합반응 (glucuronidation, sulfation 등) → 수용성 증가
    • 최종적으로 담즙 또는 소변으로 배출 가능
  • 예시:
    타이레놀(아세트아미노펜)의 과다복용 → 간독성 발생

5️⃣ 담즙 생성 – 지방 소화의 조력자

  • 간세포는 하루 0.5~1L의 담즙 생성
  • 담즙 구성:
    • 담즙산 (지방 유화)
    • 콜레스테롤
    • 빌리루빈 (적혈구 분해산물)
  • 담즙 기능:
    • 지방 덩어리를 잘게 쪼개 소화효소가 작용할 수 있게 함
    • 지용성 비타민 흡수(A, D, E, K)에 필수
  • 담낭: 담즙 저장 및 농축 역할
    식사 시 수축 → 십이지장으로 분비

 


6️⃣ 면역 기능 – 혈액 내 세균을 감시

  • 쿠퍼세포(Kupffer cells):
    • 간 내 고정 대식세포
    • 혈류를 따라 들어온 세균, 진균, 죽은 적혈구 등을 포식
  • 장-간 축(Gut-liver axis):
    • 장에서 흡수된 물질이 간으로 바로 전달되므로, 장내 미생물 변화에 매우 민감
    • 자가면역성 간염, 비알코올성 지방간염(NASH) 등과 관련

🧪 간에서 일어나는 주요 대사

대사 작용 세부 내용
Glycogenesis 포도당 → 글리코겐 저장
Gluconeogenesis 아미노산/젖산/글리세롤 → 포도당
β-oxidation 지방산 분해 → 에너지 생산
Ketogenesis 케톤체 생성 (기아 시)
Urea cycle 암모니아 → 요소 전환
Phase I/II 대사 약물 및 독소 해독

🔬 대부분의 약물은 간을 거쳐 대사되고 배설되므로, 간 기능 저하 시 약물 복용 주의가 필요합니다.


🩺 간 건강 지표 (혈액검사)

검사 항목 기능 상승 시 의미
AST(GOT), ALT(GPT) 간세포 손상 지표 간염, 약물성 손상 등
γ-GTP 담즙 정체, 음주 지표 알코올성 간질환
ALP 담즙 정체성 간질환 담관 폐쇄, 담석
총/직접 빌리루빈 담즙 흐름 평가 황달, 담관 문제
알부민 합성기능 평가 저알부민혈증, 간경변
프로트롬빈 시간 혈액응고 능력 간기능 저하 시 연장됨

⚠️ 대표적인 간 질환

지방간 (NAFLD)

  • 비만, 당뇨, 고지혈증과 관련
  • 지방이 간세포 내에 축적 → 염증 유발 가능
  • 치료: 체중 감량, 식이조절

B형/C형 간염

  • 바이러스 감염 → 만성 간염으로 진행 가능
  • 치료: 항바이러스제 (Tenofovir, Entecavir 등)

간경변 (Cirrhosis)

  • 간 조직의 섬유화 진행 → 문맥압 상승, 합병증 다수
  • 증상: 복수, 식도정맥류, 간성뇌병증

간암 (HCC)

  • 대부분 간경변에서 발생
  • 조기 진단 중요 (AFP, 영상검사)

🌿 간을 건강하게 지키는 생활 습관

습관 설명
금주 또는 절주 알코올은 간에 직접적 독성
고지방식 피하기 지방간 예방
정기 건강검진 혈액검사 + 초음파
예방접종(B형 간염) 간암 예방의 핵심
무분별한 약 복용 금지 간성 약물 과부하 방지
적정 체중 유지 대사성 간질환 예방
 

📌 간은 통증신경이 없어 손상돼도 초기엔 증상이 없습니다. 정기적인 혈액검사로 미리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
🍽️ 간에 좋은 음식

🥦 브로콜리, 양배추, 미나리

  • 유황화합물(Sulfur compounds) 풍부
  • 간 해독 효소 활성화 → 독소 분해 능력 향상
  • 간세포 보호 + 염증 억제에 도움

🧄 마늘, 양파

  • 알리신(allicin) 함유 → 항산화 작용 💥
  • 지방 축적 억제 + 혈액 순환 개선
  • 간 염증 예방에 효과적

🍵 녹차

  • 카테킨(catechin) 성분이 간산화 스트레스 완화
  • 지방간 예방, 간세포 보호
  • ※ 고농축 추출물은 주의 필요

✨ 강황(커큐민)

  • 커큐민(curcumin): 강력한 항염 성분
  • 간 섬유화 억제, 간세포 재생 촉진
  • 지용성 식품과 함께 섭취하면 효과 상승

🐟 등푸른 생선, 🫒 올리브유

  • 오메가-3 및 불포화지방산 풍부
  • 중성지방 감소 → 지방간 예방
  • 간 염증 완화 + 혈관 건강도 함께 개선

🥜 견과류 (호두, 아몬드 등)

  • 비타민 E, 셀레늄 등 항산화 성분 가득
  • 간세포 보호 + 지방 대사 개선
  • 하루 한 줌(약 20~30g) 권장

💧 수분 (물)

  • 담즙 흐름 원활하게 → 지방 소화 및 해독 도움
  • 노폐물 배출 촉진
  • 하루 1.5~2L 수분 섭취 추천

🚫 피해야 할 음식

  • 가공식품, 설탕, 탄산음료, 트랜스지방, 잦은 음주
  • 간에 과부하 → 지방간, 염증, 간세포 손상 유발


🧭 마무리 – 조용한 장기, 하지만 가장 바쁜 일꾼

간은 "침묵의 장기"라고 불립니다. 망가지기 전까지는 티가 잘 나지 않기 때문이죠. 그러나 그 내부에선 24시간 동안 수천 가지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있습니다.
우리 몸을 깨끗하게 정화하고, 에너지를 만들어내며, 면역을 유지하는 이 ‘슈퍼 장기’를 꾸준히 챙겨야 하는 이유입니다.

 

https://tmombio.tistory.com/181

 

입부터 항문까지!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완전 정리

🦠 음식이 몸이 되는 길 – 소화기관의 기능 정리우리가 먹는 음식은 단순히 '배를 채우는 것' 그 이상입니다.음식물이 우리 몸에 흡수되고 에너지가 되기까지, 다양한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

tmombio.tistory.com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