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험 일지

in vivo 유전자 발현 실험이란 무엇인가?

티맘 2024. 6. 18. 11:09
728x90
반응형

안녕하세요, 티엄마의 생의학 일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 오늘은 유전자 발현 분석을 위한 in vivo 실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실험은 살아있는 생명체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. 다양한 연구와 의학적 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유전자 발현 분석의 중요성

유전자 발현 분석은 특정 유전자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유전자 발현 수준과 변화를 분석하면 질병의 원인 규명, 치료제 개발, 생물학적 경로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in vivo 실험의 정의

in vivo 실험은 살아있는 생명체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 실험을 말합니다. 이러한 실험은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상호작용과 환경을 반영할 수 있어, 생체 외부 실험(in vitro)보다 실제 생리학적 상황에 더 가깝습니다.

 

 

in vivo 유전자 발현 실험의 주요 단계

  1. 동물 모델 선택
    • 모델 선택: 연구 목적에 맞는 적절한 동물 모델을 선택합니다. 흔히 사용되는 모델로는 생쥐, 쥐, 제브라피시, 초파리 등이 있습니다.
    • 유전자 변형 모델: 특정 유전자를 발현하거나 억제하는 유전자 변형 모델(예: 노크아웃 마우스, 트랜스제닉 마우스)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2. 유전자 도입
    • 벡터 준비: 발현하려는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를 준비합니다. 아데노바이러스, 렌티바이러스, 플라스미드 등의 벡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주입 방법: 벡터를 동물에 주입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합니다. 주입 방법으로는 정맥 주사, 근육 주사, 뇌내 주사, 유전자 총 사용 등이 있습니다.
  3. 유전자 발현 유도
    • 발현 유도 조건: 특정 화합물(예: 탈사이클린)을 추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거나, 유전자 발현 시스템(예: TET-On/TET-Off 시스템)을 사용하여 발현을 조절합니다.
    • 시간 경과에 따른 샘플링: 유전자 발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조직 샘플을 채취합니다.
  4. 조직 채취
    • 조직 분리: 실험 후 적절한 시간에 동물을 희생시키고, 필요한 조직(예: 간, 신장, 뇌, 심장 등)을 분리합니다.
    • 조직 보존: 분리한 조직을 RNA 안정화 용액에 보존하거나, -80°C에서 냉동 보관합니다.
  5. RNA 추출
    • 조직 용해: 조직을 용해하여 RNA를 추출합니다. RNA 추출 키트를 사용하여 순수한 RNA를 얻습니다.
    • RNA 정량화: 추출된 RNA의 농도를 측정하여 실험에 사용할 양을 결정합니다. 일반적으로 나노드롭(Nanodrop) 또는 Qubit을 사용합니다.
  6. cDNA 합성
    • 역전사 반응: 추출된 RNA를 역전사 효소를 사용하여 cDNA로 변환합니다. cDNA는 유전자 발현 분석에 사용됩니다.
  7. 유전자 발현 분석
    • RT-qPCR: 실시간 정량적 PCR을 사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정량화합니다.
    • RNA-Seq: 고성능 시퀀싱을 사용하여 전체 전사체(transcriptome)를 분석하고 유전자 발현 패턴을 파악합니다.
  8. 데이터 분석
    • 상대적 발현 수준 계산: 하우스키핑 유전자(예: GAPDH, β-actin)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유전자 발현 수준을 계산합니다.
    • 통계 분석: 데이터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합니다.

in vivo 유전자 발현 실험의 응용

  1. 질병 연구
    • 암 연구: 특정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여 암의 진행 과정과 발병 원인을 연구합니다.
    • 신경 퇴행성 질환: 알츠하이머병, 파킨슨병 등의 질환에서 유전자의 이상 발현을 분석하여 병리 기전을 이해합니다.
  2. 신약 개발
    • 약물 효능 평가: 새로운 약물이 특정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약물의 효능을 평가합니다.
    • 독성 평가: 약물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독성 효과를 평가하여 안전성을 검증합니다.
  3. 생물학적 경로 연구
    • 신호 전달 경로: 특정 자극에 대한 생체 반응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분석하여 신호 전달 경로를 연구합니다.
    •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: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합니다.

in vivo 유전자 발현 실험의 장점과 한계

장점:

  • 생체 환경 반영: 실제 생체 환경에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여 더 현실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복잡한 상호작용 분석 가능: 세포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환경적 요인을 모두 반영할 수 있습니다.
  • 생리학적 관련성: 실험 결과가 생리학적으로 더 관련성이 높습니다.

한계:

  • 윤리적 고려사항: 살아있는 동물을 사용하는 실험은 윤리적 고려사항이 필요합니다.
  • 시간과 비용: 동물 모델을 사용한 실험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.
  • 변수 통제의 어려움: 생체 내에서는 많은 변수를 통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참고 문헌

  1. Gordon, J. W., Scangos, G. A., Plotkin, D. J., Barbosa, J. A., & Ruddle, F. H. (1980). Genetic transformation of mouse embryos by microinjection of purified DNA.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, 77(12), 7380-7384.
  2. Lodish, H., Berk, A., Kaiser, C. A., Krieger, M., Scott, M. P., Bretscher, A., ... & Darnell, J. (2016). Molecular Cell Biology. W. H. Freeman.
  3. Thermo Fisher Scientific. (2022). Gene Expression Analysis. Retrieved from Thermo Fisher Scientific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