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전자 발현은 DNA의 유전 정보가 단백질로 변환되는 과정을 말합니다. 이 과정은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고, 생명체의 모든 생리적 활동을 조절합니다. 유전자 발현은 크게 **전사(transcription)**와 **번역(translation)**이라는 두 단계로 나뉘며, 필요에 따라 세포가 발현 수준을 조절해 환경에 적응합니다.
1. 전사 (Transcription): DNA에서 RNA로
전사는 DNA의 유전 정보를 RNA로 복사하는 과정으로, 세포핵 내에서 이루어집니다.
1.1. 전사의 단계
- 이니시에이션 (Initiation)
- RNA 폴리메라아제(RNA Polymerase)가 프로모터(promoter)라는 특정 DNA 서열에 결합하여 전사가 시작됩니다.
- 프로모터에는 TATA 박스(TATA box)와 같은 전사 시작 신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- 전사인자(transcription factors)가 RNA 폴리메라아제의 결합을 돕고, 전사의 방향성을 결정합니다.
- 엘롱게이션 (Elongation)
- RNA 폴리메라아제가 DNA의 주형 가닥(template strand)을 따라 이동하며, 상보적인 RNA 뉴클레오타이드를 연결해 mRNA(messenger RNA)를 합성합니다.
- 합성되는 mRNA는 DNA의 염기서열과 상보적이며, DNA의 T(티민)는 RNA의 U(유라실)로 대체됩니다.
- 터미네이션 (Termination)
- RNA 폴리메라아제가 종결 신호(termination signal)에 도달하면 전사가 종료됩니다.
- 이때 생성된 1차 전사체(primary transcript)는 핵 내에서 추가 가공 과정을 거칩니다.
1.2. 전사 후 RNA 가공 (RNA Processing)
- 캡핑(Capping)
- 5' 말단에 7-메틸구아노신(7-methylguanosine)이 추가되어 mRNA를 보호하고, 리보솜 결합을 돕습니다.
- 스플라이싱(Splicing)
- 인트론(intron, 비암호화 서열)이 제거되고, 엑손(exon, 암호화 서열)이 연결됩니다.
- 대체 스플라이싱(alternative splicing)을 통해 하나의 유전자로 다양한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- 폴리아데닐화(Polyadenylation)
- 3' 말단에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꼬리(poly-A tail)가 추가되어 mRNA의 안정성과 번역 효율을 높입니다.
- 성숙한 mRNA의 수송
- 완성된 mRNA는 핵공(nuclear pore)을 통해 세포질로 이동하여 번역 과정을 준비합니다.
2. 번역 (Translation): RNA에서 단백질로
번역은 mRNA의 정보를 바탕으로 아미노산 서열이 결합하여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입니다. 이 과정은 리보솜에서 이루어집니다.
2.1. 번역의 단계
- 이니시에이션 (Initiation)
- 리보솜의 작은 소단위가 mRNA의 시작 코돈(start codon, 보통 AUG)에 결합합니다.
- 메티오닌(Methionine)을 운반하는 tRNA가 시작 코돈에 결합한 후, 리보솜의 큰 소단위가 결합하여 번역이 시작됩니다.
- 엘롱게이션 (Elongation)
- tRNA(transfer RNA)가 리보솜으로 들어와, mRNA의 코돈에 상보적인 안티코돈(anticodon)을 가진 tRNA가 아미노산을 운반합니다.
- 리보솜은 mRNA를 따라 이동하며, 새로운 아미노산이 이전 아미노산과 **펩타이드 결합(peptide bond)**을 형성합니다.
- A 자리(A site), P 자리(P site), E 자리(E site)를 통해 tRNA가 순환하며,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연장됩니다.
- 터미네이션 (Termination)
- 리보솜이 종결 코돈(stop codon, UAA, UAG, UGA)에 도달하면 번역이 종료됩니다.
- 방출 인자(release factor)가 리보솜에 결합하여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방출합니다.
- 리보솜의 소단위는 분리되고, 새로 합성된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단백질로 접혀갑니다.
3. 단백질 수정 (Post-Translational Modification)
합성된 단백질은 추가적인 화학적 변형을 겪어 기능적이고 안정적인 상태로 변환됩니다.
주요 단백질 수정
- 인산화 (Phosphorylation)
- 특정 단백질의 세린(Ser), 트레오닌(Thr), 또는 티로신(Tyr) 잔기에 인산기를 추가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.
- 당화 (Glycosylation)
- 단백질에 당을 첨가해 안정성과 기능성을 부여.
- 주로 세포막 단백질이나 분비 단백질에서 발생.
- 유비퀴틴화 (Ubiquitination)
- 단백질에 유비퀴틴을 붙여 프로테아좀(proteasome)을 통한 분해를 유도.
- 아세틸화 (Acetylation)
- 단백질의 N-말단 또는 라이신 잔기에 아세틸기를 추가해 전사 조절 또는 구조 안정성 증가.
- 메틸화 (Methylation)
- 특정 아미노산 잔기에 메틸기를 추가해 상호작용을 조절하거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.
4.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
전사 수준의 조절
- 전사인자(Transcription Factors): 프로모터 및 인핸서 영역에 결합하여 전사 활성화 또는 억제.
- 에피제네틱 조절(Epigenetic Regulation):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이나 DNA 메틸화로 유전자 발현 조절.
번역 수준의 조절
- 특정 리보솜 단백질 또는 번역 인자의 활성화로 특정 mRNA의 번역 조절.
단백질 수준의 조절
- 단백질의 접힘(folding), 이동, 변형, 분해를 통해 기능과 수명을 조절.
결론
유전자 발현은 DNA의 유전 정보가 단백질로 변환되는 정교하고 복잡한 과정입니다. 이 과정은 생명 유지와 세포의 적응력, 항상성을 결정하며, 유전자 조작과 질병 치료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는 현대 생명과학과 의학 발전의 핵심입니다.
https://tmombio.tistory.com/102
핵 DNA의 구성 요소와 기능: 진핵생물의 유전학 기초
핵 DNA는 진핵생물(Eukaryotes)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중심 역할을 하며, 인간(Human)의 핵 DNA 또한 이 범주에 포함됩니다. 핵 DNA는 유전자뿐만 아니라 반복 서열, 비암호화 DNA 등 다양한 구성 요소로
tmombio.tistory.com
https://tmombio.tistory.com/103
RNA의 종류와 기능: 단백질 합성에서 유전자 조절까지
RNA(Ribonucleic Acid)는 세포 내에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고 단백질 합성 과정을 수행하는 중요한 분자입니다. RNA는 DNA와 함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, 구조와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
tmombio.tistory.com
https://tmombio.tistory.com/104
진핵세포 단백질 총정리: 분류와 역할의 모든 것
진핵세포(Eukaryotic cell)는 수많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각 단백질은 세포의 구조 유지, 신호 전달, 물질 운반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진핵세포 단백질의 종
tmombio.tistory.com
'유전학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성구의 형성과 기능: 유전자와 신호 경로 분석 (0) | 2024.08.09 |
---|---|
뼈 형성과 유지: 조골세포, 파골세포, 골세포의 메커니즘 (0) | 2024.08.08 |
뼈와 관련된 유전 질병: 뼈 건강을 위한 유전자 돌연변이 이해 (0) | 2024.08.08 |
세포 내의 DNA와 RNA: 그 역할과 중요성 (0) | 2024.06.20 |
유전학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4.06.12 |